Mindblown: a blog about philosophy.

  • 법인 사업자단위과세 신청 방법

    💡 법인 사업장이 본점 외에도 있는 경우 법인 사업장이 본점 외에도 있는 경우에는, 각 사업장 별로 지점을 등록하고, 각 사업장 별로 부가가치세 등 세금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만약, 사업장이 3곳이면 3곳의 부가가치세, 원천세 등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사업자단위과세란? 사업자단위과세란, 여러개의 사업장을 ‘하나’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사업장이 3개인 경우 ‘사업자단위과세’를 신청한다면, 세금신고를 본점에서 1회만 하게…

  • 기존 세무대리인 홈택스 수임해지 방법(자동수임 안되는 경우)

    💡 홈택스 수임동의 해지 방법 ① 홈택스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② ‘세무대리 납세관리’ 메뉴에서 ‘나의 세무대리인 해임’을 선택해 주세요. ③ 해임사유를 선택 후에 ‘동의하기’ 버튼을 눌러 주세요.

  • 연차계산법(입사일/회계연도)

    💡 연차란? 연차의 정확한 법률 용어는 ‘연차 유급휴가’입니다. 사업장은 다음의 경우, 근로자에게 15일의 연차 유급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 연차 유급휴가의 기준은? 1) 입사일 기준 근로자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연차 유급휴가가 주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발생된 유급 휴가는 입사일로부터 1년 내에 사용 가능하며, 사용하지 않은 경우는 만료됩니다. ① 근로기간 1년 미만 근로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입사일을 기준으로 1개월 개근할…

  • 피부양자 자격 인정기준(소득요건)

    💡 피부양자 자격 인정기준 1) 소득요건 2) 재산요건 3) 부양요건 📌 관련글 링크 : 피부양자 자격의 인정기준 중 소득 및 재산요건 < 피부양자 취득 < 자격 < 국민건강보험 < 정책센터 | 국민건강보험 (nhis.or.kr)

  • 세금계산서 역발행 방법

    일반적으로는 공급자(판매자)가 공급받은 자(매입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대금을 받습니다. 그러나 만약 판매자가 세금계산서 발행을 미루거나 해주지 않는다면, 공급받은 매입자가 역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데요. 이를 ‘세금계산서 역발행’이라 합니다. 즉, 세금계산서 역발행이란, 공급자가 아닌 공급받는 자(매입자)가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공급자가 확인하여 공급자의 공동인증서를 통한 서명 및 확인이 이루어지는 세금계산서 발행 방식을 말합니다. 💡 세금계산서 역발행 방법 ① 홈택스에…

  •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온라인 사업자라면 반드시 통신판매업 신고를 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 신고는 온라인에서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마련한 안전망으로 구매자뿐 아니라 판매자에게도 필요한 절차입니다. 다만, 간이과세자나 직전연도 거래 횟수 50회 미만인 사업자는 통신판매업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통신판매업 신고 전 해야 할 것 💡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통신판매업 신고는 시·군·구청 지역경제과에 직접 방문하거나 또는 온라인에서 신고할…

  • 세금 카드 납부 방법

    종합소득세 납부 세금이 예상보다 많이 나와 당황스러운 적이 있으셨나요? 이럴 때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하면 부담이 덜 할 수 있는데요. 종합소득세 외에도 부가가치세, 법인세 등 모든 국세, 지방세는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신용카드로 세금을 납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신용카드로 세금 납부? ① 대상 세목 모든 세목이 가능합니다. ② 납부 가능한 신용카드 비씨, 신한,…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종합소득세를 신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원천징수영수증(근로소득지급명세서)’ 발급이 필요한데요. 홈택스를 통해 원천징수영수증(근로소득지급명세서)을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근로소득지급명세서(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방법 ①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 해주세요. ② ‘My홈택스’를 선택해 주세요. ③ ‘연말정산·지급명세서’에서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 클릭해 주세요. ④ ‘보기’를 클릭해 주세요. ⑤ 인쇄해 주시면 됩니다.

  • 주민세 납부 방법

    주민세의 개념과 주민세 납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주민세 1) 주민세란? 주민세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주민에게 부과하는 지방세의 한 종류를 말합니다. 즉,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주, 사업소를 둔 법인 및 개인사업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인데요. ※ 월급에서 공제되는 주민세는 지방소득세로 주민세와 별도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2) 주민세의 종류 주민세에는 개인분, 사업소분, 종업원분 세 가지가 있습니다. ① 개인분 가구당 1만원…

  • 종합소득세/법인세 세율

    「소득세법」 제55조의 개정으로 2023년 이후 귀속 소득분부터 적용되는 종합소득세/법인세의 세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세율은 23.01.01 이후 개시되는 사업연도 분부터 적용됩니다. 💡 종합소득세(근로소득세) 세율 종합소득세는 개인에게 귀속되는 소득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400만원 이하 6% 0원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 15% 126만원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24% 576만원 8,800만원 초과…

추천 예약이 있으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