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서류 발급 가이드

  • 4대보험 가입자명부 발급 방법

    💡4대 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 발급 방법(온라인) ①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 접속 후 로그인 해주세요. ② 상단의 ‘증명서 발급’에서 ‘증명서 신청/발급’을 선택해 주세요. ③ ‘동의’ 후 ‘확인’을 눌러 주세요. ④ ‘확인’을 선택해 주세요. ⑤ ‘확인’을 눌러 주세요. ⑥ 근무중인 사업장을 선택 후, 용도 및 주민등록번호 표시 여부 선택 후 ‘신청’ 버튼을 눌러 주세요. ⑦ ‘새로고침’ 버튼을…

  • 지방세 완납증명서 발급 방법

    지방세 완납증명서의 정식 명칭은 ‘지방세 납세증명서’인데요. 납세증명서의 의미와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납세증명서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현재 징수유예액, 체납처분유예액 등을 제외하고는 발급일 현재 다른 지방세를 체납한 사실이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 지방세 납세증명서에는 1개월의 유효기간이 있는데요. 납세증명서에 기재돼 있어 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지방세 납세증명서 발급방법 지방세 납세증명서는 정부24와 위택스를 통해 발급할 수 있는데요. 이…

  • 중소기업 확인서 발급 절차

    💡 중소기업 확인서 발급 절차 온라인 자료 제출은 세이브택스에서 진행하며, 점선 아래부터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① 온라인으로 자료를 제출해 주세요. ② 회원가입해 주세요. ③ 제출자료 확인 및 신청서 제출 후 단계별 신청서를 작성해 주세요. 📌 소상공인 유예검토가 뜬다면? 진행 결과에 ‘소상공인 유예검토’ 대상 기업이라 나온다면, [과거규모 확인절차]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 세금계산서 역발행 방법

    일반적으로는 공급자(판매자)가 공급받은 자(매입자)에게 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대금을 받습니다. 그러나 만약 판매자가 세금계산서 발행을 미루거나 해주지 않는다면, 공급받은 매입자가 역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는데요. 이를 ‘세금계산서 역발행’이라 합니다. 즉, 세금계산서 역발행이란, 공급자가 아닌 공급받는 자(매입자)가 세금계산서를 작성하고 공급자가 확인하여 공급자의 공동인증서를 통한 서명 및 확인이 이루어지는 세금계산서 발행 방식을 말합니다. 💡 세금계산서 역발행 방법 ① 홈택스에…

  • 소득금액증명원 발급 방법

    금융 업무시 자신의 소득을 증명을 위한 서류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요. 이때 필요한 서류가 바로 ‘소득금액증명원’입니다. 이제부터 소득금액증명원 발급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민센터 방문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시청, 구청에 직접 방문하셔서 창구를 통해 소득금액증명원을 발급할 수 있습니다. 세무서에서 주민센터로 팩스를 전송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평균 1시간). 2) 무인발급기 무인발급기를 통해서도…

  • 세금계산서 발급 방법

    법인사업자 또는 사업자별 직전연도 공급가액이 1억원 이상인 개인사업자인 경우라면, 의무적으로 종이세금계산서 대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합니다(23.07.01부터). (※ 2024.07.01부터는 직전연도 공급가액 8천만 원 이상부터 확대될 예정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홈택스를 통해 발급하는 방법 ①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을 하세요. ② 상단 오른쪽의 ‘인증서’를 선택 후, 공동·금융인증서 등록에서 ‘바로가기’를 눌러 주세요. ③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 메뉴에서 ‘전자(세금)계산서…

  • 수정 세금계산서 발급 방법

    세금계산서를 발급 후 정정해야 할 사항이 발생한 경우, 수정하여 발급할 수 있습니다. 수정발급이 필요한 상황이 여러가지이나, 가장 보편적인 사례는 기존 세금계산서를 취소 후 새로 발행하는 방법인데요. 지금부터 이같은 경우, 수정 세금계산서 발행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수정 세금계산서 발급 방법 ① 홈택스에 접속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진행해 주세요 ② ‘전자(세금)계산서·현금영수증·신용카드’를 선택하세요. ③ ‘발급’ 메뉴에서 ‘-전자(세금)계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