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4대보험 Q&A
-
4대보험 자동이체 계좌 변경 방법
4대보험 납부일은 매월 10일입니다. 기한에 맞춰 매번 납부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대부분 자동이체를 신청하셨을 텐데요. 참고로 자동이체를 신청하실 경우에는 매월 500원의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각각 250원씩 할인). 그런데 이러한 자동이체 계좌를 변경할 사항이 발생했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4대보험 자동이체 계좌를 변경하는 방법 2가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회보험징수포털 사이트 사업장의 공동인증서가 있다면…
-
상실신고 이후 퇴사사유 변경 방법은?
직원이 퇴사하게 되면 상실일, 상실사유 등을 4대보험공단에 신고합니다.이때 신고된 상실사유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래의 양식을 모두 작성하셔서근로복지공단 관할지사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1. 고용정보 변동신고서 고용정보 내역 정정 신고서 2. 상실사유 정정 문답서 상실사유 정정 문답서 * 참고 : 지역별 4대보험기관 찾기 상실한 날의 다음달 15일 이전까지는 퇴사사유 변경신고를 진행하였더라도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습니다.다만, 그 이후에 정정신고를 진행하시는 경우에는 과태료가…
-
고용·산재보험 적용제외 확인서/근로자 가입신고 제외확인서란?
사업장에 일반근로자 없이 대표자와 등기임원만 재직중이라면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고용·산재보험 적용 제외 확인서 제출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대표자와 등기임원은 고용·산재보험 가입대상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 등기임원은 예외적으로 가입이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참고 : 법인 대표자 및 등기임원의 4대보험 가입 ) 고용, 산재보험 가입대상자가 없는 경우아래의 양식 중 제출을 요청받은 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신 후근로복지공단 관할지사로 FAX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1) 고용/산재보험 적용제외 확인서2) 근로자 가입신고 제외 확인서…
-
다른 사업장에 재직중인 근로자이면서 한 사업장의 대표인 경우 4대보험은?
다른 사업장에 재직중인 근로자이면서 한 사업장의 대표자일 경우,4대보험 가입 여부 및 4대보험료는 아래와 같이 달라집니다. A. 법인 대표 a. 법인 대표자로서 급여가 발생하는 경우복수 사업장에 재직하더라도 4대보험은 각각의 사업장에서 가입해야하기 때문에법인 대표자로서 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을 별도로 신청하셔야 합니다.(대표자는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은 가입대상이 아닙니다.) – 건강보험 : 각각의 사업장에서 부과– 국민연금 : 각각의 사업장에서 부과 ※ 국민연금은 한…